본문 바로가기
노후 생활비 파이프라인 만들기

배당락, 배당성향? 배당주 투자전 관련 용어들부터 알아보자

by 헨주 2022. 9. 2.

배당락, 배당성향? 배당주 투자 전 관련 용어들부터 알아보자


배당수익률, 배당기준일, 배당락, 배당 성향? 오늘은 배당주 투자 전 알고 있어야 할 배당주 관련 기초 용어에 대해 한번 정리해 볼까 한다.

 

 

목차
배당성향
배당수익률
배당기준일
배당락
배당 지급일
배당성장률

 

배당성향

배당성향이란 기업의 당기순이익 중에 배당금의 비율이 얼마인가를 의미한다. 당기순이익이란 영업이익에서 여러 비용을 뺀 순수 이익을 의미한다. 배당성향을 배당지급률 또는 사외 분배율이라고도 한다.

 

배당성향 = (배당금/당기순이익) * 100

 

올해 100억 원의 순이익을 올린 기업이 이 중에서 50억 원을 배당금으로 지급했다면 배당성향은 50%가 되는 것이다.

 

아래는 내가 관심 있게 보고 있는 KT&G의 기업실적 분석표이다. 21년 기준, 당기순이익이 9천718억 원이고, 배당성향이 58.93%이니, KT&G가 연말에 주주들에게 배당한 배당금의 총액은 5천726억 원이 되는 것이다.

 

 

배당성향은 그 기업이 얼마나 배당을 잘해주는지, 그리고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에 비해 주주에게 지급하는 배당이 적당한지를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배당성향이 높으면 무조건 좋은 것인가도 고민해봐야 한다. 배당금을 많이 지급할수록 사내유보율이 낮아 기업의 재무구조가 악화될 수도 있고, 사업에 투자하는 비용이 줄어들 것이므로 기업의 발전 속도는 느려질 수 있기 때문이다.

 

 

배당수익률

배당수익률은 투자자가 배당을 주는 기업의 주식을 사서 배당을 받으면 얼마나 수익을 거둘 수 있는지 알려주는 지표이다.

 

배당수익률 = (1주당 배당금 / 주가 ) * 100

 

가령 주가가 1만 원일 때 주식을 샀고, 이 기업이 연말에 주당 200원의 현금 배당을 한다고 하면 배당수익률은 2%가 되는 거다. (200/10,000)*100 = 2%

 

함께 알아둘 용어는 시가배당률이라는 것인데, 이것은 배당 기준일의 주가 기준으로 배당수익률을 계산한 것이다.

 

 

배당기준일 (record date)

 

배당기준일은 기업의 주주명부상 이익배당을 받을 권리주주를 확정하기 위한 날이다. 

 

배당이란 기업이 1년 경영을 잘해서 이익이 남을 때, 그 기업의 주식을 소유한 주주들에게 이익을 나눠주는 것이다. 그런데 주식이라는 것이 수시로 사고팔고 하는 것이다 보니, 기업 입장에서는 주주가 계속 바뀌게 된다. 그래서 배당기준일이라는 것이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 기업의 대부분은 12월 31일 주주명부에 올라있는 주주들에게 배당을 지급한다. 보통 한 해의 마지막 날에는 주식시장이 열리지 않고, 주식 매수 후 주주로 이름이 등재되기까지는 2일의 시간이 소요되므로, 12월 31일에 주식을 매수한다고 해도 배당을 받을 수 없다. 최소 거래일 기준으로 2일 전에는 해당 주식을 매수해야 배당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그날을 배당기준일이라고 하는데,  올해(2022년 기준)는 배당기준일이 12월 28일이 된다.

 

 

 

배당락

배당락이란 배당을 받을 권리가 없어지는 것을 말한다.

 

배당락일(ex-dividend date)은 배당기준일 다음날이며, 보통 이날은 주가가 떨어진다. 투자자들이 배당을 받기 위해 배당기준일까지 매수한 주식을 폭풍 매도하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12월 31일 주주명부에 등재된 주주에게 배당을 지급한다고 했을 때, 2022년 기준 배당기준일이 12월 28일이니까, 배당락일은 12월 29일이 된다.

 

 

배당 지급일 (payable date)

 

배당 지급일이란 배당금이 지급되는 날을 말한다.

 

배당 지급일을 확인하기 위해 나는 Investing.com을 주로 이용하는데, investing.com에서 내 관심종목인 KT&G의 배당지급일을 확인해보면 아래와 같이 나온다.

 

 

 

Investing.com 바로가기

 

 

 

배당성장률

배당성장률은 매년 배당금이 얼마나 올랐는지에 대한 비율이다. 작년에 1000원의 배당을 줬던 회사가 금년에 1100원의 배당금을 준다면, 배당성장률은 10%가 되는 것이다.

 

배당성장률이 높다는 것은 앞으로도 배당금을 더 올려줄 수 있는지, 배당금을 계속 안정적으로 받을 수 있는 지를 알 수 있는 지표가 되므로, 배당주 투자 시 꼭 체크해보는 것이 좋다. 

 

KT&G의 배당성장률을 한번 체크해보자.

 

 

investing.com에서 확인하기

 

 

  전년대비 배당성장률 연평균 배당성장률
2021 0% 31%/5 = 6.2%
2020 10%
2019 10% (400/4000*100)
2018 0%
2017 11% (400/3600*100)

 

배당을 못 올려준 해도 있지만, 5년 평균을 내보니 6.2%로 배당금이 올랐다는 걸 확인할 수 있다.

 

당장 배당금은 높지만 배당성장률은 떨어지는 회사보다는, 당장의 배당금은 낮지만 배당성장률이 높은 쪽 주식을 매수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봐서는 좋은 투자가 된다.

 

 

맺음말

이상으로 배당성향, 배당수익률, 배당기준일, 배당락, 배당 지급일, 배당성장률 등 배당주 투자 시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기초용어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기를 바란다.

 

2022.08.26 - [노후 생활비 파이프라인 만들기] - 배당과 배당주란? (투자할 배당주 찾는 방법)

 

배당과 배당주란? (투자할 배당주 찾는 방법)

배당과 배당주란? (투자할 배당주 찾는 방법) 은퇴 후 노후 생활비를 벌기 위해 배당주 투자를 시작해보려고 한다. 그래서 오늘은 배당과 배당주란 무엇이며, 배당주를 선택하는 방법은 무엇인

moneyhen.tistory.com

 

댓글